[이기희의 같은 하늘 다른 세상] 할머니는 아무나 되나
딸이 보낸 다섯 살짜리 손녀 사진를 멍 때리며 바라본다. 너무 귀엽고 예쁘다. 사지를 이리 비꼬고 저리 틀며 폼 재는 모습이 여간한 모델 뺨친다. 이번에 손녀는 유치원, 손자는 유아원에 입학하는데 온 집안이 경사난 듯 난리법석이다. 할머니 체면에 가만 있을 수 없어 등교하는 날 입을 손자 손녀 옷값을 보냈다. 손녀 딸이 제 옷을 여러벌 골라서 내가 보낸 돈이 바닥 나서 손자 옷은 못샀다고 딸이 울상이다. 이럴 때는 눈 꼭 감고 “니 자식은 니가 알아서 하세요”라고 해야 하는데 어쩔 수 없이 손자 옷값을 더 보낸다. 요즘 어린아이들은 애가 아니다. 어른 뺨치는 애 어른이다. 자기가 하고 싶은 일, 먹고 싶은 것, 입고 싶은 옷을 스스로 고른다. 자기 맘에 안 들면 ‘NO!’ 고집이 철통이다. 좋게 말하면 스스로 선택하는 권리를 고양시키는 것이지만 세상살이 제맘대로 골라 살 수 없는 때가 그 애들의 인생에도 닥친다는 것. 어릴 적에 새 옷은 추석 명절이나 설날에 입었다. 스무 가구가 조금 넘는 마을에서 새 옷 입는 아이는 술 만들어 파는 면장집 아들과 우리 남매 뿐이였다. 대구에 사는 외속모가 보내준 알록달록한 실로 짠 예쁜 스웨터를 입었다. 해진 옷은 깁고 때묻은 옷을 개천에 빨아 놋쇠다리미로 다린 빳빳한 저고리를 입고 등교하는 날은 너무 신나서 개구리처럼 폴짝폴짝 뛰면서 개울 건너 학교에 갔다. 가슴에 달린 하얀 손수건이 실바람에 나비처럼 나부꼈다. ‘손주는 올 때 반갑고 갈 때도 좋다’는 정말 사실이다. 이리 뛰고 저리 설치며 혼을 빼고 별의별 온갖 것들을 다 물어대는데는 척척박사라도 당해낼 재간이 없다. 온 지도 얼마 안 되는데 가는 날 동그라미 친 달력을 딸 몰래 훔쳐본다. 우리 애들은 ‘할머니’라는 소리만 들어도 눈물이 고인다. 어머님이 세 아이를 기르셨다. 둘 째 딸 산후조리 도와주러 미국에 오셨다가 학교 다니며 사업하는 딸이 불쌍해 눌러 앉으셔서 타국 땅에 묻히셨다. ‘할머니’라는 단어는 우리 아이들에겐 무엇이던 척척 만들어내는 ‘원더우먼’이고 언제던지 뛰어가 품에 안기고 기댈 수 있는 ‘늘푸른 느티나무’다. ‘아흔 셋, 나의 사랑하는 할머니가 자살을 시도했다. 취업준비 하며 보내던 어느 날, 나의 가족이자 오랜 친구인 할머니가 먼곳으로 떠나려 했다는 소식을 듣게 된다’-다큐멘터리 ‘할머니의 먼 집’ 중에서 무서우면 할머니를 가장 먼저 찿던 아이, 할머니가 해주는 옛날 이야기를 가장 좋아하던 아이, 이소현감독은 할머니를 그냥 보낼 수 없어 “내가 영화 열심히 찍을 테니까 다 보고 돌아가셔, 그 전에 돌아가시면 안돼”라며 곁을 지킨다. 웃음이 많고 넘어져도 피가 난 채로 주무시던 할머니. 더 이상 먹이고 키울 손주도 없어 화초를 키우지만 발치 가까이 온 고독을 견디지 못해 할머니는 죽음의 강을 스스로 건너기로 작정한다. 전 재산 30만원을 화장대에 두고 수면제를 모아 생을 마감하려 했던 할머니는 ‘사는 게 성가셔’ 라고 말씀하신다. 나이 먹는다고, 손주가 여럿 생긴다고 아무나 할머니가 되는 것이 아니다. ‘할머니’라는 단어에는 인내와 희생, 고귀한 연륜이 목화꽃송이처럼 실타래로 묶여있다. 어머니의 사랑이 피와 살을 깎는 정성이라면 할머니 사랑은 오래 된 정원에서 피어나는 향기로 생의 곳곳에서 사랑의 밧줄을 감아올린다. (Q7 Fine Art 대표, 작가) 이기희이기희의 같은 하늘 다른 세상 할머니 할머니 사랑 할머니 체면 아이 할머니